겪은 오류 9

[Docker]Device "docker0" does not exist.

도커를 설치하고 테스트를 진행하는 중에 빌드를 하거나 컨테이너를 실행하면 도커 네트워크 브릿지인 'docker0'가 계속 죽는 현상이 발생했다. ip addr show docker0 명령으로 확인해보니 인터페이스가 계속 내려가는데 원인도 모르는 상태에서 구글링을 하다가 스택오버플로우에서 해결책을 찾았다. 해당 글에서는 docker가 netscript라는 패키지를 잘못 사용하고있는것으로 보고 해당 패키지를 삭제 하니 정상적으로 동작하더라는 의견이 있어서 적용해보았더니 도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시작했다. sudo apt remove netscript-2.4 sudo systemctl restart docker 무작정 패키지를 삭제하는것이 답은 아니다. 어떤 부작용이 생길지 알수도 없고... 하지만 유사한 ..

겪은 오류 2024.03.22

[Oracle]java.sql.SQLException: 지원되지 않는 문자 집합(클래스 경로에 orai18n.jar 추가): KO16MSWIN949

어쩌다보니 여러 장비에서 프로젝트를 작업하게 됐는데 작업환경이 제각각이다 보니 이런저런 오류를 마주치게 된다 다른장비에서는 멀쩡하게 작동하던 코드가 특정 장비에만 오면 '지원되지 않는 문자 집합' 이라는 오류를 뱉어내서 뭐가 문제인가 했더니 데이터베이스의 문자셋이 다른 문제... stackTrace에도 해결방법이 적혀있지만 orai18n 라는 라이브러리를 추가해주면 쉽게 해결되는것 같다. Maven Repository: com.oracle.database.nls » orai18n mvnrepository.com 근데 특정 pc에서만 발생하는 오류때문에 굳이 뭘 더 추가해주고싶진 않은 이상한 고집이 발동해서 뭐가 문제인지 찾아보기로 함. 일단 문자집합(character set) 문제라는걸 파악했으니 작동이..

겪은 오류 2021.02.06

Summernote 적용중 에러 Cannot read property 'lang' of undefined

위시위그 에디터중 Summernote 사용하다가 겪은 에러 Uncaught TypeError: Cannot read property 'lang' of undefined 위와 같은 에러를 내뱉으며 한글(ko_kr)을 적용하지 못하길래 검색을 해보니 같은 증상을 겪는 유저가 많았다. 결론만 말하자면 참조파일을 참조하는 순서가 잘못되었던것 위와 같은 식으로 언어지원파일을 먼저 호출하면 에러가 나기 때문에 이렇게 언어를 지원하는 파일을 가장 마지막에 호출해주어야 한다.

겪은 오류 2020.08.07

[Linux]RedHat 8.2버전 톰캣 자동실행 오류

리눅스 Snippet - Tomcat 수동 설치 및 systemd 등록(리눅스 or Mac) Tomcat 원격 shutdown 기능 disable 시키기 suwoni-codelab.com 해당 링크를 참조하여 톰캣 설치후 자동실행 서비스를 등록하는것까지는 문제가 없었는데 서비스를 실행하니 Job for tomcat.service failed because the control process exited with error code. See "systemctl status tomcat.service" and "journalctl -xe" for details. 라는 오류를 내뱉으면서 톰캣 서비스가 실행이 되지 않았다 오류 메세지에 나온대로 journalctl -xe를 확인해보니 -- The start-up..

겪은 오류 2020.05.19

[AWS] SSH를 통한 EC2 리눅스 인스턴스 접속 오류

EC2 리눅스 인스턴스를 접속할때 Putty외의 방법도 사용해 보기위해 SSH를 통해 접속 하려고 하였으나 가이드에 나온대로 ssh -i (프라이빗키 파일 경로) (리눅스 사용자 명)@(퍼블릭 DNS 주소) =================================== AWS 가이드에는 ssh -i /path/my-key-pair.pem ec2-user@ec2-198-51-100-1.compute-1.amazonaws.com 라고 써있다 리눅스 종류별로 사용자명이 상이한데 가이드에 따르면 Amazon Linux 2 또는 Amazon Linux AMI의 경우 사용자 이름은 ec2-user입니다. CentOS AMI의 경우 사용자 이름은 centos입니다. Debian AMI의 경우 사용자 이름은 admi..

겪은 오류 2020.05.18

[AWS]마리아DB 사용 중 event_scheduler 설정

aws에서 마리아 db 사용 중에 날짜에 관련된 이벤트를 사용하려고 set global event_scheduler=on; 명령어를 이용하여 이벤트 스케쥴러를 활성화 시키려고 했으나 오류 보고 - Access denied; you need (at least one of) the SUPER privilege(s) for this operation 라는 오류를 뱉으며 실행이 안됨. AWS에서 EC2를 이용해 DB를 사용하는게 아니라 RDS를 통해 DB를 사용할때 사용하는 db관리자는 Super권한을 갖고있지 않기 때문인데 이를 해결하려면 AWS 콘솔에서 제공하는 파라미터 그룹에서 설정을 바꿔주면 된다.(권한은 어쩔수 없다...) 권한이 필요한 다른것들도 아마 대부분 파라미터 그룹내에서 해결 할 수 있을것이다

겪은 오류 2019.12.04

[JAVA]Access restriction : The type '(참조타입)' is not api

netty를 사용해보는 중에 전날까지 멀쩡히 import 되던 것들에 죄다 빨간줄이 그어져 있어서 새로고침도 해보고 라이브러리를 remove한 뒤 새로 add도 해보았는데 개선되지 않아서 구글링 하던중 JAVA Build Path - Libraries 에서 JRE System Library를 remove했다가 새로 add 하면 멀쩡해진다는 사실을 발견 적용해보니 멀쩡해 졌다

겪은 오류 2018.07.31